반응형 전체 글151 기부금 세액공제 대상, 조건, 한도, 제출서류 기부금 세액공제는 본인과 부양가족이 낸 기부금의 일정 비율만큼을 세금에서 공제해주는 것입니다. 기부한 금액의 종류와 금액에 따라 공제받는 비율이 달라집니다. [목차여기]기부금 세액공제란?기부금을 낸 경우, 그 금액의 일정 비율만큼 세금을 덜 내게 해주는 제도입니다.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부금은 본인과 부양가족(나이 제한 없음)이 낸 기부금입니다.공제율기부금 1,000만 원 이하: 낸 금액의 15%기부금 1,000만 원 초과 ~ 3,000만 원 이하: 낸 금액의 30%기부금 3,000만 원 초과: 낸 금액의 40% 기부금 종류와 공제율1) 정치자금 기부금정치 활동에 사용되는 자금을 기부한 경우입니다.한도: 소득의 100%까지 인정됩니다.공제율- 10만 원 이하: 낸 금액의 100/110 (약 10%.. 2025. 1. 23. 의료비 연말정산 방법(연말정산 간소화 이용법) 의료비 연말정산은 근로자가 본인이나 가족을 위해 지출한 의료비에 대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공제 대상과 계산 방법, 필요한 서류 등을 정확히 알고,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활용하면 자료를 간편하게 조회하고 제출할 수 있습니다. 화면과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바로가기 [목차여기] 의료비 연말정산 방법 1. 공제 대상 확인의료비 세액공제를 받으려면 본인, 배우자, 부양가족(나이·소득 요건 충족)을 위해 지출한 의료비만 가능합니다. 공제 가능한 항목: 병원 진료비, 약국 의약품 구입비, 장애인보장구 구입비, 안경·콘택트렌즈 비용 등공제 불가 항목: 미용·성형수술비, 건강기능식품 구매비, 실손보험으로 돌려받은 금액 등 2. 의료비 영수증 준비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이용.. 2025. 1. 22. 의료비 세액공제 대상, 조건, 한도, 계산법, 필요서류(+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의료비 세액공제는 가족이나 본인을 위해 지출한 의료비 중 일정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소득이 있는 근로자가 의료비를 냈다면, 세금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여기]의료비 세액공제란?의료비 세액공제는 근로자가 본인이나 가족을 위해 사용한 의료비 중 일정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입니다.본인, 배우자, 자녀 등 기본공제대상자를 위해 지출한 의료비에 대해 최대 15%를 세금에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미숙아나 선천성 이상아 치료비는 20%, 난임 시술비는 30%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의료비 세액공제 대상자다음의 경우에 사용한 의료비가 공제 대상이 됩니다.근로자 본인65세 이상 어르신(과세기간 종료일 기준)장애인미숙아나 선천성 이상아건.. 2025. 1. 22. 국민연금 납부확인서, 납부내역서 조회/출력 방법(+사업장별) 국민연금 납부확인서, 납부 내역서는 동일한 것으로 문서명은 납부 확인서라고 나옵니다. 동시에 월별 납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공단과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조회/출력할 수 있습니다. 두가지 모두 사이트에서 화면과 함께 자세히 발급받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공단 출력 바로가기 건강보험공단 출력 바로가기 [목차여기]국민연금 납부내역서 발급 방법국민연금 납입내역서와 납부확인서는 같은 것으로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와 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 조회/출력할 수 있습니다. 어디서든 같은 것을 출력할 수 있고, 문서의 이름은 '국민연금 납부확인서'이고, 내용은 월별 납부내역을 확인할 수 있어서, 두가지가 혼용되어 사용됩니다. 문서 이름은 국민연금 납부확인서이고, 국민연금 납부내역서라는 이름의 문서는.. 2025. 1. 20.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방법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는 개인적으로 궁금할때, 연말정산이나 소득세 신고시 등 다양한 상황에서 필요합니다. 화면으로 통해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바로가기 [목차여기]국민연금 납부액 조회방법그동안 나와, 사업장에서 납부한 모든 국민연금 내역을 통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실업크렛딧 납부 내역도 별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1.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2. 개인 메뉴에서 가입내역 조회를 선택합니다.3. 로그인을 합니다.4. 국민연금 가입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종 가입기간, 총 납부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화면으로 자세히 보겠습니다.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납부액 조회하기1.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국민연금공단 페이지로 들어갑니다. .. 2025. 1. 20. 전국 설명절 지원금 신청방법, 모아보기 설 명절을 앞두고 전국 여러 지역에서 민생경제를 지원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민생회복지원금을 지급합니다. 아래는 주요 지역의 지원금 현황입니다. [목차여기] 전국 설명절 지원금 현황파주시지원금액: 1인당 10만 원신청기간: 2025년 1월 21일 ~ 2월 20일사용처: 파주시 전통시장 및 파주페이 가맹점파주시 설명절 지원금 받기 광명시지원금액: 1인당 10만 원지급대상: 25년 1월 15일 기준 광명시 주민등록 주민신청마감: 2025년 3월 31일소비기한: 2025년 4월 30일지급방법: 지역화폐로 지급광명시 설명절 지원금 받기 정읍시지원금액: 1인당 30만 원신청기간: 2024년 12월 23일 ~ 2025년 1월 24일 (5주간)지급방법: 무기명 선불카드신청방법: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 2025. 1. 18. 동시에 두 곳(2개) 이상 직장(근무지)을 다닐때 연말정산 방법 직장 2곳 이상에서 동시에 근무하는 경우, 연말정산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 곳에서 퇴직 후 재취업 시 연말정산 하는 방법과 비슷합니다.중도퇴사자, 재취업자, 휴직자 연말정산 방법[목차여기]근무지가 두 곳 이상일 때 연말정산 방법주된 근무지와 종된 근무지를 정합니다근로소득(급여)을 받는 회사가 두 곳 이상인 경우, 어느 회사가 주된 근무지(주요 직장)인지, 어느 회사가 종된 근무지(부업 직장)인지 정해야 합니다.이러한 작업은 한 곳이라도 일용직 근로자라면 해당되지 않습니다. 일용근로자는 연말정산을 따로 하지 않습니다.주된 근무지에 신고서를 제출합니다주된 근무지와 부업직장을 정한 후, 근무지(변동) 신고서라는 서류를 작성하여 주된 근무지의 회사(원천징수의무자)에게 제출해야 합니다.제출 기한은 .. 2025. 1. 17. 중도 퇴사자, 재취업자, 휴직자의 연말정산 방법 연말정산 기간, 중도 퇴사자, 재취직자, 휴직자의 경우 연말정산은 어떻게 하는지 궁금하시지요? 각각의 경우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공통점도 차이점도 있으니 끝까지 읽어보세요. [목차여기]중도퇴사자 연말정산 방법퇴사한 달에 연말정산을 합니다 중도에 퇴사한 사람은 퇴사하는 달에 1월부터 퇴사한 달까지 받은 총급여를 기준으로 회사가 연말정산을 진행합니다. 연말정산을 한다는 것은 퇴사 전까지의 총 급여를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해서 추가로 납부할 세금이 있으면, 마지막 급여에 반영하고, 돌려받을 세금이 있다면 납부해야 할 세금에 반영해서 세금을 덜 내도록 하는 것입니다.이렇게 연말/연초에 진행하는 연말정산을 퇴사 시점에 진행하는 것입니다. 회사는 지급명세서를 제출합니다 그리고 회사는 퇴사한.. 2025. 1. 17. 홈택스 원천징수영수증(지급명세서) 발급 방법 원천징수영수증은 회사가 나의 급여와 원천징수에서 국가에 납부한 세금을 신고한 내역으로 회사가 신고한 이후에 내가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소득, 기타소득 등 다양한 소득별 원천징수영수증을 홈택스를 통해 발급 받는 방법을 화면으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홈택스 원천징수영수증(지급명세서) 발급 바로가기 [목차여기]원천징수 영수증이란?원천징수 영수증은 세금 징수 의무자인 회사가 근로자에게 지급한 급여와 원천징수한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내역을 기록한 문서입니다. 이 영수증은 연말정산, 대출 신청, 소득 증명 등 여러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회사가 지급한 내역이므로 소득 지급명세서하고도 합니다. 원천징수 영수증의 주요 내용원천징수 영수증은 징수 의무자인 회사가 국세청에 소득자의 급여와 원천징수한 세금 정보를 신고.. 2025. 1. 16.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조회/확인(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명세서) 중소기업 취업자는 소득세 감면을 받을 수 있고, 내가 대상이 되는지, 실제로 감면 받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조회하고 확인할 수 있는지, 홈택스 화면으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대상 확인 바로가기 [목차여기]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조회 방법 내가 감면 대상인지 확인하는 방법중소기업 소득세 감면을 받기 위해서는 내가 먼저 감면신청을 회사에 감면신청서를 내면서 해야하고,이후에 회사가 세무서에 신청을 하면 감면 대상으로 등록이 됩니다. 이때 회사가 나의 소득과 소득세를 적은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명세서를 제출하게 되고, 이후에 우리가 홈택스에서 감면 대상인지의 여부와 감면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회사에서 감면 명세서를 제출했다면 홈택스에서 감면 내역을 확인할 수 있.. 2025. 1. 16. 이전 1 ··· 4 5 6 7 8 9 10 ··· 16 다음 반응형